Categories
공부

글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이 포스트는 <조승연의 쓰기의 기술> 1강: 글은 어디에서 나오는가를 보고 작성했습니다.

글을 썼기 때문에 조승연 작가라는 사람이 존재할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경험을 하고, 이야기를 하지만 글은 쓴 사람은 기억이 되지만, 글을 쓰지 않은 사람은 잊혀진다.

글을 쓰지 않으면 그 경험은 자신만의 경험으로 끝이 나고, 사회에 영향을 끼치거나 다른사람에게 도움이나 감동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비록 그 경험이 자기에게 소중할 지 모르지만, 자기 자산으로 남을 수는 없다.

오늘 날은 사람들이 훨씬 더 많은 글쓰기를 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SMS 등 이러한 모든 게 다 글쓰기의 일종이다. 과거와의 차이점이라면 비대칭적(Asymmetric)이라는 거다. 3개월 전에 쓴 글에 댓글이 달리고, 그 댓글에 또 댓글을 작성한다.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표현력이 중요한 시대다. 제 아무리 똑똑한 사람이라도 소통이 되지 않으면, 즉 전달력이 0 이라면 그 사람은 아는 것이 없는 사람이 된다. 소통을 하지 않으면 공부해도 소용이 없다.

그런데 글은 어떻게 쓰여지는 걸까? 깊은 고민 끝에 찾아낸 영감이 원천일까? 천만의 말씀이다. 알퐁스 드 라마르틴(Alphonse de Lamartine)은 프랑스 시인이 있는데, 이 사람은 영감(Inspiration)을 강하게 각인시킨 사람이다. 그가 쓴 어떤 시가 유명했는데, 사람들이 그 시를 어떻게 쓰게 되었는지 물어봤다고 한다. 그는 이렇게 대답을 했다. “아, 어느 날 정원을 걷다가 하늘을 봤는데, 구름 사이에 십자가 모양의 빛이 보이는거에요. 그 순간 갑자기 영감이 떠올라서 바로 작성한 게 그 시입니다.” 그런데, 사후 그의 집에서 그 시를 200번 넘게 고쳐 쓴 글이 나왔다고 한다.

글쓰기에 대한 고정관념은 아래와 같다.

19세기 낭만주의가 우리에게 심어준 고정관념

  1. 글은 앞에서 뒤로 쓰는 것이다.
  2. 글을 쓰려면 영감이 필요하다.

글쓰기의 실체는 아래와 같다.

글쓰는 것의 실체

  1. 글은 엉성하게 쓰고 살을 붙인다.
  2. 글은 영감이 아니라 리액션이다.

누구도 글을 처음부터 쓰지 않는다. 굉장히 잘못된 생각이다. 글은 결코 영감에서 나오지 않는다. 글은 선인세(책 출판 전 미리 받는 돈)가 만든다.

영감은 아마추어를 위한 것이다. 프로는 그저 아침이 되면 출근할 뿐이다.

– 극사실주의 화가, 척 클로스(Chuck Close)

Hits: 87

By 라이언양

라이언양 연구실 주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